오늘은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절차 및 방법, 센터 방문 후기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먼저 수급 사유에 해당한다면 '퇴사 후 1년 내 신청부터 수급' 까지 모든 과정을 마쳐야 하기에 퇴사 즉시 빠르게 진행하는 편이 좋다는 말씀을 드리고 시작한다.
참고로 무작정 고용센터부터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몇 가지 해야 할 일이 있다. 그래야 헛걸음없이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하므로 포스팅을 참고하시어 미리 해야 할 것들을 완료한 후 센터 방문을 추천드린다.
그럼 어떤 것들을 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자.
[고용센터 방문 전 할 일]
1. 고용보험 상실신고 확인(근로복지공단)
2. 이직확인서 처리 확인(고용보험)
3. 워크넷 구직 신청
4. 고용보험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5. 수급자격신청서 온라인 제출
6.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이 포스팅에서는 전반적인 절차와 함께 나의 경우를 기준으로 덧붙여 설명 예정인 점 참고 부탁드린다.
※ 나의 상황 : 2번, 5번 미완료 상태로 6번 진행
- 2번 : 이직확인서 미접수(회사에서 미제출한 상황)
- 5번 : 2번 상황으로 수급자격신청서 온라인 제출 불가
덧붙이자면 이직확인서 처리가 안되었더라도 구직급여 신청은 가능하니 절차대로 진행하셔도 된다.
그럼 2번까지 완료되었다는 가정하에 3번 과정부터 알아보기로 한다.
워크넷 구직 신청
![](https://blog.kakaocdn.net/dn/bmwgb3/btsKqyc2Hzm/EycAZKcY0mvu6KgBXb1kI1/img.jpg)
워크넷 구직신청
워크넷 가입, 이력서 작성, 구직신청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을 위해서는 워크넷 구직 신청을 반드시 해주셔야 하는데 워크넷은 고용보험 홈페이지가 아닌, 구직활동이 가능한 별도의 사이트이니 오해하지 마시길.
※ 고용센터에서 운영하는 취업사이트 정도로 이해하면 됨
워크넷 사이트로 들어가 '회원가입 - 로그인 - 이력서 작성 - 구직신청' 순서로 진행한다.
구직신청이 완료되면 '워크넷 구직번호' 가 생성되는데 여기까지 하면 3번 과정은 완료다. 참고로 자기소개서 작성은 필수가 아니므로 이력서만 작성해도 무방하다.
워크넷 공개여부 및 구직신청 내용
![](https://blog.kakaocdn.net/dn/tFUNk/btsKpWlfbMK/LpLHkbshgJctduGODtUi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8keWo/btsKqQxHzNe/2CDiDxUiO1elKKfvXBvaCK/img.jpg)
워크넷 공개여부 및 구직신청 내용
공개 여부 '비공개' 가능
워크넷 구직신청 시 공개 여부, 구직신청 목적 등 몇 가지 체크하는 사항이 있는데 작성 당시 이 부분이 상당히 고민되었다. 이렇게 체크해도 되는지 신경도 쓰이고 혹시나 잘못 작성해 문제가 생기는건 아닌지 걱정도 되고 말이다.
그래서 내가 직접 체크한 사항을 이미지로 첨부하였다.
워크넷 공개 여부는 비공개로 하고 하단 사유에는 '구직급여 신청 목적' 이라고 기재하였으며, 구직 신청의 목적 역시 구직급여에 체크했다.
그 외 각종 서비스, 교육 참여에는 '아니오' 체크했고, 구직정보제공 및 개인정보조회 등도 '동의하지 않음' 으로 체크해두었다. 이렇게 해도 신청 시 전혀 문제없었다.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https://blog.kakaocdn.net/dn/carB5Q/btsKqq0prvI/YjskTFAzcNQjyp56qKXM40/img.jpg)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고용보험(PC, 모바일)에서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시청
워크넷 구직신청까지 마쳤다면 이번엔 4번 고용보험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단계로 넘어가보자.
4번 온라인 교육은 사전에 꼭 수강하지 않아도 되지만 수강없이 센터 방문 시 오프라인 강의를 들어야하므로 미리 듣는게 효율적이다.
고용보험 모바일, PC 어느 버전에서도 다 수강이 가능하며, 전체 시간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 주의할 점
- 음소거하면 안 됨
- 30분 이상 움직임이 없으면 무효화
(처음부터 다시 수강하게 될 수 있음)
- 교육 수강 후 14일 이내 고용센터 방문 必
(14일이 지나면 재수강)
1시간 짜리 강의가 쭉 이어지는게 아니라 1강, 2강 등 몇 분 단위 강의가 여러 개로 나뉘어있어 1개 강의가 끝나면 다음 강의로 '직접' 넘겨주어야 한다.
전반적인 안내 사항이 담겨있으므로 약간 지루하긴 해도 나름대로 도움이 되는 내용이 담겨있다.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https://blog.kakaocdn.net/dn/zT1rR/btsKovI5YOy/8Yw7wi3cRROkZceYmDoyCK/img.jpg)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온라인 or 방문 제출 선택 가능
선택이라고 적었지만 가능하면 온라인 제출이 방문 시 시간도 절약되고 간편하기에 추천드린다.
나의 경우는 '이직확인서 미제출' 상태로 진행했기에 온라인 사전 제출이 불가해 센터에서 직접 신청서를 작성한 케이스이다. 나처럼 이직확인서가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 방문 작성하면 되니 걱정할 것 없다.
방문하게 되면 센터 담당자가 주는 신청서에 기본정보,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신청, 취업 관련 사항 등 몇 가지를 작성하면 되는데 어렵지 않게 작성할 수 있으니 온라인으로 제출 못했어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내가 방문한 김포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번호표를 뽑고 창구로 가서 실업급여 신청하려한다 + 신분증 전달하니 몇 가지 사항 조회 / 확인 후 가능 여부를 알려주셨다.
나의 경우 상실신고 O, 이직확인서 X, 워크넷 구직 신청 O, 온라인 교육 수강 O, 온라인 신청서 제출 X 상태로 방문하였고 담당자분 피드백은 이러했다.
실업급여 사유에 해당해 구직급여는 받을 수 있고 아직 이직확인서가 처리되지 않았으니 사업장 소재 관할 고용센터에 이직확인서 접수/처리 완료되면 그때부터 구직급여가 지급될 것이다.
아울러 담당자분은 처음에 퇴사 사유를 물어보셨고, 현재 프리랜서 활동, 사업자 여부 등 소득활동 관련 사항이 없는지 체크 후 주의사항 간단히 말씀해주시고 서류를 하나 주셨다.
※ 실업급여 신청
- '본인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신청(사업장 관할 X)
※ 이직확인서
-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서 처리
![](https://blog.kakaocdn.net/dn/C4W97/btsKqyRCiDd/8EHNCAIS7henkTbyPJtKk1/img.jpg)
바로 위 서류이다. 이로써 신청은 무사히 통과되었고 1차 실업인정 안내 서류와 함께 1차 실업인정일에 반드시 센터 교육을 수강해야 한다는 안내가 있었다.
1차 실업인정교육은 온라인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나의 경우 240일 장기수급자이기 때문에 반드시 센터 '방문 교육'을 수강해야했다.
이 1차 실업인정교육까지 듣고 나야 비로소 1차 구직급여가 통장에 입금된다. (교육 다음 날 오전 8일치 입금)
✔️ 실업급여 신청 절차
1. 고용보험 상실신고 확인(근로복지공단)
2. 이직확인서 처리 확인(고용보험)
3. 워크넷 구직 신청
4. 고용보험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5. 수급자격신청서 온라인 제출
6.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신분증 지참)
다시 한번 정리하면 위와 같다.
※ 궁금 사항 정리
- 2번 이직확인서 미처리 상태로도 실업급여 신청 가능
- 4번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미수강 시 센터에서 수강
(그러니 반드시 온라인 수강 후 방문할 것)
- 2번 이직확인서 미처리 시 수급자격신청서 온라인 제출 불가, 이 경우 센터 방문해서 직접 작성 가능
내가 겪었던 경험에 기반해 궁금하실만한 사항도 몇 가지 정리했으며, 참고가 되시면 좋겠다.
참고로 센터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데 모바일 신분증(운전면허증)으로도 가능했음.